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箫韶九成, 凤凰来仪

  • 50
125772.jpg

본 논문은 현재 중국에서 전해지고 있는 제공악무(祭孔樂舞) 의 전승현황을 공자시대의 아악 , 제공악무의 역사 연혁 그리고 제공악무의 과거와 현재의 담론 등 세단락으로 분류하여 논한 것이다. 중국 서주(B.C 1046-B.C 771)시기는 악무(樂舞)를 집대성한 시기로 체계적인 악무제도를 제정하였다. 전대(前代)의 악무를 정리하여 육대무(六代舞) 를 만들었으며, 제사에 참가하는 악무의 인원수와 악현(樂懸) 에 대해서도 엄격한 등급 제도를 지켜나감으로써 통치 기반을 견고히 하였다. 이러한 주나라의 악무 제도와 이념은 이후 유가 학설의 시초가 되었으며 수 천년의 중국역사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중국 전통문화의 한 부분이 되었다. 공자가 태어난 춘추말기는 예악이 붕괴된 시기로, 공자는 악무의 교육 작용을 중시하여 풍습을 바꾸는 데는 음악보다 좋은 게 없다 하며 전통문화의 정리와 전파를 위해 여러 방면으로 힘썼다. 기원전 479년, 공자가 별세한 후 노나라 애공(哀公)은 묘당을 만들고 석전 제사를 지냈는데 이것이 후세대 공자 제사의 시초가 되었으며, 기원 485년, 남제(南齊) 무제(武帝) 때는 제공악무가 제후에 대한 예우로 확정되었고 간현지악(干懸之樂) 과 육일지무 가 사용되었다. 당 태종은 공자를 선성(先聖)으로 칭하고 문선왕 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이러한 제공악무 는 중화민국 시기까지는 악기 연주와 일무를 표연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었다. 문화대혁명 이후, 1989년 160명이 출연하는 <소무(韶舞)>를 공연하였는데 복식은 다시 설계, 제작되었고 무용 동작은 주재육(周載堉)의 『악률전서』 무도(舞圖)에 의거하였다. 현재 곡부에서는 매년 공자 탄신일인 9월28일 공자문화제 를 열고 있으며 2008년부터는 봄철에도 제공악무 를 거행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위대한 사상가를 기리고 있다.

<국문초록>

一. 孔子&#19982; 雅&#20048;

二. 祭孔&#20048;舞 的&#21382;史沿革

三. &#31659;韶九成, &#20964;凰&#26469;&#20202; - 祭孔&#20048;舞 今昔&#35848;-

<참고문헌>

Ⅰ. 공자와 아악(雅樂)

Ⅱ. 제공악무(祭孔樂舞) 의 역사 연혁

Ⅲ. 소소구성(簫韶九成), 봉황래의(鳳凰來儀) - 제공악무 의 과거와 현재의 담론 -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