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7843.jpg
KCI등재 학술저널

北海道の旧石器文化

  • 32

홋카이도(北海道)에서 처음 구석기 문화가 발견된 지 이미 반세기 이상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구석기문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아직까지 홋카이도에서의 학술연구는 원인(原人, archanthropien)이나 구인(舊人, paleanthropien)에 관한 궤적이 발견되고 있지 않다. 갱신세 말에 이르러 신인(新人, neanthropien)들은 남극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을 제패하였으며, 홋카이도 북방에 출현한 육로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 이 지방으로 도달하였다. 그들이 처음으로 도달한 시기는 약 20,000 년 이전으로 추정되며, 방대한 양의 활동 흔적을 남겼다. 홋카이도의 선사학 연구는 연대측정 및 편년연구를 비롯한 자연과학분야 면에서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많은 제한이 있는데, 테프라 편년연구가 유일하게 큰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홋카이도 중앙부에 위치하는 에니와(恵庭)화산의 광역테프라(En-a)는 편년연구 상에서 시기가 앞서는 석기 공작과 그보다 늦은 시기의 석기 공작 간의 상호 관계를 식별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홋카이도 후기구석기문화의 석기 공작은 대부분 재지 흑요석과 함께 경질 혈암을 중심으로 석기제작에 이용되었다. 재지 흑요석은 주로 4가지의 산지·노두에서 채집되었으며, 특히 북부 시라타키(白滝)의 노두는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시라타키산 흑요석은 적어도 직경 700㎞ 권의 북해도 내외에 반출되어 유통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각지에서 다른 인류 집단 간에 대해 도구 제작 상의 중요한 교역재료로서 유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 다. 즉 이 당시 홋카이도의 인류 활동이 고립된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명확히 증명하고 있다. 홋카이도에서는 8개의 세석인 박리기술이 발달하였다. 어떤 기술은 특정 지역에서만 한정적으로 활용된 반면, 널리 아시아대륙의 인류그룹과 깊이 관련되는 기술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는 후기 구석기 복합문화(civilisations pal éolithiques)의 총체에 부합되는 연구, 혹은 지역적으로 완성된 편년연 구가 성립되고 있지 않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오래된 석기군은 후기구석기문화 전형의 석기조성(outillage)과 석인 및 세석인 박리기술로 구성되며, 카시와다이(柏台) I 유적 등의 출토사례로 증명할 수 있다. 이는 에니와화산의 광역 테프라(En-a)보다 더 오래된 최종 빙하기후반의 최한랭기에 해당한다. 제 2단계는 En-a층보다 새로운 후속 석기 공작으로, 오사츠 16 유적 등을 전형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제 3단계는 홋카이도 후기 구석기 문화 말기에 속하는 석기군 양상이며, 동시에 죠몽(縄文)문화의 여명기에 해당된다. 이 양상에서는 토기의 존재, 그리고 후기 구석기 문화 전통과 죠몽문화 복합[소위, 아신석기문화(亜新石器文化), “Sub-n éolithique”)의 과도적인 석기문화가 특징적이다. 이러한 마지막 양상이 단기간에 발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Ⅰ. 序論

Ⅱ. 先史考古学上の考察

Ⅲ. 北海道の後期旧石器文化に使われた技術

Ⅳ. 北海道の先史文化における石器の材料

Ⅴ. 北海道の代表的な後期旧石器文化の遺跡

Ⅵ. 北海道旧石器文化の特徴

Ⅶ. 結論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