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의 학사적 의의

The Significance of Excavations of the Seokjang-ri Paleolithic Site in History of Korean Archaeology

  • 1,928
127848.jpg

1960년대 전반은 한국의 구석기고고학 연구에서 새로운 전환점이 이룩된 시기였다. 장덕리유적의 토탄층에서 출토한 털코끼리 화석을 비롯하여, 굴포리유적과 석장리유적의 고토양층에서 드러난 석기는 한국에 구석기 유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동안 석장리 구석기유적에서 얻은 발굴 성과는 한국 구석기문화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반면에 유적의 형성 시기, 문화층의 연대 설정, 집자리의 성격, 석기의 분류 체계 등에 관해서는 아직도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한편, 특히 1964~1973년까지 10 년 동안, 석장리유적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 방법은 한국의 구석기유적을 자연과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예를 들어, 생태유물을 대상으로 한 토양의 체분석과 산도 측정, 꽃가루 분석, 나무 숯의 수종 분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과 같은 일련의 자연과학 방법은 한국의 구석기고고학 연구에서 고고과학의 기초를 확립하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조사 현장과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자연과학 방법의 응용과 더불어, 발굴 방법, 유물의 공간 분포 분석과 그에 따른 생활상 복원, 철저한 현장 기록과 체계적인 유물 정리, 구석기 관계 용어의 한글화 작업은 한국 선사고고학의 발달사에 있어 석장리 구석기유적의 발굴이 학사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Korean Paleolithic study had a turning point in the early 1960s. In addition to mammoth fossils found in peat layers at the Jangdeok-ri site, lithic materials revealed in paleosol deposits at the Gulpo-ri site and the Seokjang-ri site provided definite evidences for corroborating the existence of the Paleolithic Age in Korea. The achievements from excavations at the Seokjang-ri site provided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Paleolithic culture. However, researchers have been debating several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is site, such as the absolute date that the site formed, the chronology of cultural layers, the characteristics of dwellings, and the classifications of excavated lithics. On the other hand, particularly, various research and analytic methods, which was adopted in this site for ten years in 1964-1973,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pproaches to the Korean Paleolithic sites. For example, scientific methods that had been conducted in this site to analyze ecofacts, which include sieve analysis, pH test, pollen analysis, charcoal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etc., paved the way fo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archaeological science in Korean Paleolithic study.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methods carried out in fields and laboratories, academic achievements of this site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excavation methods, the reconstruction of living conditions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rtifacts, the making of detailed field notes,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artifacts, and the translation of foreign terms in Paleolithic archaeology to Korean clearly show the significance of excavations of the Seokjang-ri site in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Korean prehistoric archaeology.

Ⅰ. 머리말

Ⅱ. 석장리유적의 발견, 발굴, 연구

Ⅲ. 현장 기록과 유물 정리

Ⅳ. 구석기 관계 용어의 한글화 작업

Ⅴ.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