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서 인류 거주의 시작을 밝히는 역사적 문제뿐 아니라 한반도, 중국대륙과 일본열도에 걸친 후기구석 기시대의 문화 교류와 뒤이은 신석기문화와의 연관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좀돌날석기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 하다. 그런 연유로 고산리유적, 강정동유적, 생수궤유적에서 보고된 좀돌날과 그 몸돌은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연구자들에게 초미의 관심사였다. 그러나 이것들에 대한 여러 견해는 무엇보다도 제작기법을 잘 반영하는 형태와 크기에 있어 수긍하기 어려운 점들로 인해 일치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눌러떼기(pressure percussion)로 제작한 좀돌날몸 돌에서 나타나는 형태상의 여러 특징들, 즉 우묵점, 나란한 능선, 때림면의 조성 방식, 몸돌의 전체 모양 그리고 좀돌날의 가로와 세로 단면의 모양과 구성 및 등면 상태의 종류와 비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좀돌날의 너비와 두께의 크기 분포와 평균치를 월성동유적과 호평동유적의 좀돌날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정동유적의 것은 좀돌날을 제작한 몸돌이 틀림없으나, 생수궤유적과 고산리유적의 경우는 좀돌날 몸돌이나 그 선형으로 보기 어려웠다. 그리고 좀돌날로 보고된 것 가운데 좀돌날몸돌에서 떼어졌다고 인정할만한 것은 없지만, 고산리유적의 경우는 나뭇잎모양찌르개(창선형첨두기)와 뗀활촉을 제작할 때 뿔 같은 무른망 치로 직접 잔손질하여 날의 모양을 잡거나 눌러다듬기(pressure retouch)로 날을 고르게 잔손질할 때 생긴 쓰레기(waste)로 판단된다.
Microblade tools are crucial evidence for elucidating the beginning of history of the Jeju-do and cultural exchanges among occupants of Korean peninsula, China, and Japanese archipelago during Paleolithic and Neolithic. For this reason, many archaeologists have been quite interested in the Gosan-ri site, Gangjeong-dong site, and Saengsugue site which yielded so-called microbladecores and microblades. But there are different views on its authenticity as characteristic features and standard size which reflect pressure percussion technique for producing microblades are questionable. To solve this problem, characteristic features such as negative bulb, parallel arrise, preparing method of striking platform and type of microbladecore, shape of vertical and horizontal cross section, sort and composition of dorsal surface of microblade were examined in detail. Size and mean value of width and thickness of microblade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from Wolseong-dong site and Hopyeong-dong site. According to the results, microbladecores from the Gangjeon-dong site are real one but those from the Gosan-ri site and Saengsugue site are incorrectly classified. And microblades reported from three sites are not real one, but those from the Gosan-ri site are waste which produced during retouching leap-shaped bifacial points and arrow heads by antler hammer.
Ⅰ. 머리말
Ⅱ. 좀돌날석기의 정의와 형태 특징
Ⅲ. 주요 유적의 검토
Ⅳ. 고찰
Ⅴ.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