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7851.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남지역 구석기유적의 지형 및 지질환경적 입지 특성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site characteristics of Paleolithic sites in Yeongnam district

  • 406

영남지역에서 최근까지 발굴조사된 25곳의 구석기유적을 대상으로 지형 및 지질환경적 입지 특성을 살펴보 았다. 지형환경 요소에 있어 지형적으로 유적은 지역적 유역 내에서의 최종 하천과 비교적 인접한 산지 사면 저부의 완경사지 또는 평탄지와 하천 주변 평탄지에 주로 입지한다. 미지형 분류에 있어서는 정부평탄지, 정부사 면, 산록사면 등의 구릉성 지형면을 비롯하여 곡저면, 충적면 및 단구면 등에 입지한다. 지질환경 요소에 있어 서는 해성단구, 하성단구 및 고기붕적층의 제4기 지질 및 층서단위에 분포한다. 하성단구에 가장 많으나 고기 붕적층에도 다수 확인된다. 하성단구는 저위2면에서의 분포 비율이 훨씬 높아 후기 구석기유적의 분포가 우세할 것임을 시사한다. 하성단구는 하천 성격에 따라 사행천, 곡부 소하천 및 충적선상지 등으로 구분되며, 사행 천과 충적선상지가 우세하다. 문화층의 퇴적기원은 사면 붕적작용과 하천 퇴적작용으로 대별된다. 붕적층은 고기붕적층 뿐만 아니라 배후산지와 접한 단구면 상부를 점하기도 한다. 앞으로 단구와 같은 평탄지에서의 중국 황사 기원 고토양층의 존재 가능성, 그리고 토양쐐기의 존재 및 매수와 층서적 활용 등에 대해서 활발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site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of 25 paleolithic sites excavated in Yeongnam district. The sites were mainly located at gentle slope of mountainous and lowland area close to the final river in local drainage system. In micro-landform elements, the sites were distributed in bottom land, alluvial toeslpope, and terrace surface as well as crest flat, crest slope and footslope. Marine terrace, fluvial terrace and paleo-colluvial deposits were main geological units. The sites was mainly located at fluvial terrace and paleo-colluvial terrace. Fluvial terraces were correlated to L2 in stratigraphy, which indicates the sites may be late Paleolithic age. The terraces were classified by meandering river, valley stream and alluvial fan, herein meandering river was a main site. Depositional mechanism of cultural layers were divided into colluvial and fluvial processes. Colluvial deposits were main constituents of paleo-colluvial deposits, and also were developed at upper part of terraces close to mountainous area. The occurrence of loess-paleosol and stratigraphic application of soil wedge in Paleolithic sites might be important future subjects.

Ⅰ. 머리말

Ⅱ. 영남지역의 지형 및 지질 개관

Ⅲ. 영남지역 구석기유적의 지형 및지질환경적 입지 특성

Ⅳ. 구석기 고토양층의 자연과학적 논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