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가손상지수와 WIM 데이터를 이용한 잔존 피로수명 예측: 1. 간편한 피로수명 평가법 제안
Estimation of Remaining Fatigue Life Using Equivalent Damage Factor and WIM Data: 1. Proposed Simple Fatigue Estimation Procedures
- 한국방재학회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17권1호
-
2017.0247 - 52 (6 pages)
-
DOI : 10.9798/KOSHAM.2017.17.1.47
- 96
국내 고속도로에는 약 8,700여 개소의 교량이 있으며, 그 중 약 20 %인 1,600여 개소가 강교량으로 공용중에 있다. 그러나 최근 교통량 증가 및 과적 및 대형 화물차량의 통행량 증가로 인하여 강교량의 피로수명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피로손상 및 피로수명 평가 방법을 개선하고자 Eurocode의 등가손상지수를 활용한 피로손상 평가 방법 및 피로수명 평가 방법을 심도있게 고찰하고, 국내 고속도로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활용한 잔존 피로수명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피로수명 평가 방법은 기존의 누적손상기법과 비교하여 교량의 손상지수와 이론적 공용수명을 간단하고 쉽게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mong the 8,700 in-service bridges in national highway, the steel bridges cover the 1600 sites and make up approximately the 20 % of the total amounts. Due to recent rapid increase both in traffic volume and in frequency of overloaded vehicles, the need for re-evaluating the fatigue life of the steel bridges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existing fatigue life assessment procedures, this study reviews the fatigue life assessment methods using equivalent damage method in Eurocode and then proposes an easier and simpler fatigue life assessment procedure that could evaluate the remaining fatigue life of the steel bridges using traffic data collected from a HS-WIM installed in the national highway network. The proposed method is simple and easy to estimate the damage index and theoretical remaining fatigue life compared with the existing cumulative damage method.
1. 서 론
2. 등가손상지수
3. 등가손상기법
4. 피로수명 평가 프로세스 제안
5.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