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유년기 중이염에 의해 야기된 측두하악관절 강직증 - 치험례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CAUSED BY OTITIS MEDIA IN CHILDHOODS; Report of a case

  • 10
127861.jpg

본 증례에서의 악관절 강직증은 유년기의 홍역 및 이에 따른 중이염으로 이차적으로 발생된 것으로 사려되었다. 이에 대한 치료로서 구내 및 구외 접근법(전이개 절개, Risdon 절개)으로 1) 이환측의 과두돌기 및 오훼돌기 절제술, 2) 반대측 오훼돌기 절제술, 3) 이환측 측두와의 재형성, 4) Titanium 과두 및 금속고정판을 이용한 악관절 재건을 시행하였다. 수술 6일 후 악간고정을 제거하였을때 안정된 교합 상태와 25mm의 최대 개구량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여 술후 3개월 후에는 43mm의 최대개구량을 얻었다. 술후 2년 이상이 지난 지금 개구 장애 등의 하악 운동의 기능적 장애는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본 증례에서는 악관절의 재건을 의하여 금속 인공 과두를 사용하였으므로 차후 이식체에 의한 관절와의 흡수등이 발생할 가능성과 술후 관절 주위 조직의 섬유화에 의한 섬유성 악관절강직증의 발생 등을 고려해 앞으로 계속적이고 충분한 물리치료 및 세심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려된다.

The causes of temporomandibular joint(TMJ) ankylosis are classified into trauma, systemic or local infection, and systemic diseases. Recent reports have implicated taruma as the main cause, with infection being a distant one. Local infections of surrounding structures(eg, mastoiditis and otits media) can spread to TMJ by a direct extension or a hematogenous spread. In childhood, dense barrier of bone between the middle ear and the joint cavity may not be developed to prevent the spead of the infection. Otitis media is known to be a common complication of measles in children. Therefore children are more susceptible to TMJ ankylosis secondary to otitis media caused by measles. In the present case, the patient was 21 years old. At the age of 5 years, he had been caught by measles and accompanying otitis media. Since then, he had suffered from trismus for over 15 years. He was diagnosed as bony ankylosis of the left TMJ. We reconstructed his TMJ with 1) the resection of the condylar mass, 2) ipsilateral coronoidectemy, 3) contralateral coronoidectomy, 4) recontouring of glenoid fossa, and 5) replacement with a metal prosthesis (titanium condyle). In the choice of the graft material, we preferred metal prosthesis to autogenous costochnodral rib bone because the patient was still in the state of chronic otitis media and mastoditis. His mandibular func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postoperatively. Until now he gets along without 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

Abstract

Ⅰ. 서론

Ⅱ. 증례 보고

Ⅲ. 총괄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