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사-동료의 자율성지지가 중학생의 학습동기화전략 및 자기핸디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on Learning Motivated Strategies and Self-Handicapp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7권 4호
-
2017.02521 - 538 (18 pages)
-
DOI : 10.22251/jlcci.2017.17.4.521
- 376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사-동료의 자율성지지가 중학생의 학습동기화 전략 및 자기핸디캡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료 수집은 2016년 4월 1일부터 4월29일까지였으며, G시와 K시에 소재한 중학교 2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해당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할당표집방법에 의해 360명(남학생 180명, 여학생 180명)의 추출한 표본 중에서 339명의 자료를 최종 실제분석에 이용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교사와 동료의 자율성지지와 학습동기화전략 그리고 자기핸디캡을 측정하는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동료의 자율성지지는 학습동기화전략의 자기효능감, 내적가치, 인지전략의 사용, 자기조절에 정적 영향을 준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자기핸디캡에 부적 영향을 준다. 셋째, 학습동기화전략의 평가불안은 자기핸디캡에 정적영향을 주는 반면에, 내적가치와 자기조절은 자기핸디캡에 부적 영향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on learning motivated strategies and self-handicapp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60 middle school students in G and K city from April 1 to 29, 2016. But, among of subjects, it consisted of 339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 21 students. The used instruments were the Park, Kim, & Kim(2010) for measuri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the Jung & Park(2013) for measuring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scale, and the Hwang & Park(2010) for measuring self-handicapping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s a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 First, the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positively influenced to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the use of cognitive strategy, and self-regulation in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Second, the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negatively influenced to self-handicapping. Third, evaluation anxiety positively influenced to self-handicapping but, intrinsic value and self-regulation negatively influenced to self-handicapping.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