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모더니즘 이후의 모더니즘들: 신(新)모더니즘 연구의 가능성과 당면 과제

Modernisms after Modernism: the New Modernist Studies with Potential and Challenges

  • 354
128083.jpg

모더니즘 담론에서 일반적인 연구 대상은 20세기 초반에 유럽과 미국에서 나타난 실험적 문화 예술 운동이다. 그러나 현대화로 인한 변화를 모더니즘의 주요 원인으로 보는 만큼, 현대화가 일찍 진행된 서구 국가들과 달리 시기적으로 뒤늦게 등장한 국가들의 모더니즘은 연구에서 제외되거나 타자의 형태로 작품 속에 존재하였다. 이후 일부 모더니즘 작품에 나타나는 제국주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서구 이외의 국가들의 현대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20세기 후반부터 세계화로 인한 범세계적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모더니티와 모더니즘 연구의 판이 짜지는 계기가 마련됐다. 새로운 모더니즘의 경향을 통합적으로 살펴 보는 데는 여러 난제가 있으나, 1999년에 설립된 ‘모더니즘연구 학회’가 이러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을 구축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이 학회는 1994년 Modernism/Modernity라는 학술지 창간에 이어서 설립된 학술단체로, 시들해져 가던 모더니즘 연구를 부활시킨 계기를 마련했다. 서구 중심을 탈피한 모더니즘 연구는 아직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이 학회에서 주요 행사 중 하나인 모더니 즘연구 학회 학술상의 최근 수상작은 주로 새로운 관념의 모더니즘들과 관련된 저서들이 강세를 이루었다. 2015년 수상작은 자넷 풀(Janet Poole)의 『미래가 사라진 때』로, 한국의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서이다. 외국 작가에 의한 일본 식민지 상황의 한국 모더니즘 작가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가 비단 기존 모더니즘 연구의 지형도를 바꿀 뿐 아니라 한국 문학 연구의 판을 새로이 짜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로 인한 변화가 긍정적인지의 여부, 그리고 새로운 모더니즘이 공통된 특징을 명시 가능한 새로운 문예사조로서 기능하는지의 여부는 조금 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으나 서구 중심을 탈피하여 아직 ‘모던’이라고 불리는 시기에 세계 각국의 모더니즘을 발굴하고 재조명 한다는 데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new modernist studies and investigate its significances and contradictions. In the 1990s, the genealogy of modernism and modernity reached an entirely new phase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postcolonial studies. Scholars began to expand the study of modernism and modernity in terms of space and time, modifying the scope of their research from a Western-centric modernism/modernity to that of other regions and periods. The new modernist studies enlarges the field without restricting its object to high culture, and thus achieved temporal and spatial diversity in its discourse. The movement was acceler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ist Studies Association (MSA) in 1999 and the ensuing publication of its journal, Modernism/Modernity. However, such approaches have the potential to distort domestic scholarship, for which Janet Poole serves as a good example when she wrote When the Future Disappears: The Modernist Imagination in Late Colonial Korea (2014), awarded in the following year by MSA. For she is quite different from Korean scholars in terms of the object of study. The new modernist studies are still important as they build the foundation for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ism, but their follow-up studies will also be significan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