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8078.jpg
KCI등재 학술저널

貯藏, 剩餘, 指導權: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集團貯藏施設의 考古學的 理解

Storage, Surplus and Political Leadership :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on the Mass Outdoor Storage Facilities in the Bronze Age, Hoseo Region

DOI : 10.18040/sgs.2017.95.79
  • 1,512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전이과정에서 관찰되는 ‘집단적 저장시설 등장’이라는 현상은 최근 제법 가열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반론과 재반론이 이어지는 과정에서 논의가 활성화되는 긍정적 효과를 보이기도 했으나 실증적 입론보다는 소모적 담론을 통해 논의의 방향이 모호해지고 있기도 하다. 본고는 그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현재 쟁점이 되고 있는 몇 가지 사항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은 물론 다시금 논의가 생산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방향모색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일부 연구에서 드러나는 조작이 의심될 정도의 자료 활용, 이론적 일관성 부족 등 문제를 지적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다른 일부에서 발견되는 생산적인 측면, 즉 논의 확장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기도 한다.

The emergence of mass outdoor storage facilities in the transition from Early to Middle Bronze Ages in recent come to be hotly debated. Although argument and counterargument in succession have made the debate more vivid, sometimes story-telling-like theorizing rather than positive hypothesizing deteriorate the productive discussion. I attempt at reviewing some arguments at issue in critical fashion and suggesting a proper way in which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age, surplus and leadership might get more productive, in order to solve worrisome problems. Reviewing current arguments, I find that some includes intentional fraud in data collection and inconsistent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at others attract our atten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

요약

Ⅰ. 序論

Ⅱ.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屋外貯藏竪穴 分布의 特徵

Ⅲ. 靑銅器時代 前-中期 轉移過程의 貯藏樣相 變化

Ⅳ. 靑銅器時代 中期 集團貯藏施設 分布의 變異

Ⅴ. 提言: 靑銅器時代 貯藏, 剩餘, 指導權의 관계에 대한 이해

Ⅵ.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