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egal Study of Punishments in Terms of Principles of Private Informaion Protection Law
개인정보보호법의 보호원칙에 대한 벌칙조항 연구
- Korea Association For Info-Media Law
- Journal of Korea Infomation Law
- Vol.16 No.2
-
2012.09121 - 140 (20 pages)
- 142
최근 개인정보의 해킹사고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데에 따라 기업의 CEO나 최고경 영진이 새로 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각자의 비즈니스 환경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관심이 많아 졌다. 이 논문은 전체 개인정보보호법 중에 제 3조 개인정보보호 법의 기본 보호원칙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본원칙의 유래와 근간을 연구한 결과 OECD 기본 8원칙의 국제표준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개인정보보호법과 OECD 8원칙 조항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제70조에서 제75조 조항 중 주요 벌칙조항들은 기본원칙을 어긴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지 않고 개인정보를 제 3자에 제공하는 것은 가장 엄중한 처벌조항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인정보보호법 중 특히 벌칙조항에 대해 민사소송 및 형벌사항에 대한 준비를 위하여 상세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private information data leakage recently, most of CEO and top managers are interested in the new law to protect their private information data with their business environments from hacking. Among the whole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law, we focused on the third article that is basic principles of the new law. we have been traced the principles of new law its origins, that was originated from OECD 8basic principles. As result, following were found, The basic principles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law correspond with OECD 8principles. The main punishments of the 70-75th articles regarded as breaking the basic principles. To offer private information data to the others by fraud without customer’s agreement is treated with the most severe punish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some detailed guidelines to prepare the new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law specially punishments from lawsuit and any other penalty.
Ⅰ. 들어가는 말
Ⅱ. OECD 개인정보 보호원칙과의 비교
1. OECD개인정보 보호원칙
2. 개인정보보호법 보호원칙
Ⅲ. 보호원칙 관련 벌칙조항 및 지침
Ⅳ. 나가는 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