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무비컬에서의 음악적 변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sic Transformation in Moviecal : Focused on <Billy Elliot>

  • 213
128074.jpg

우리나라 뮤지컬 시장은 2001년 이후 본격적인 산업화의 단계로 접어들며 대형 라이선스 뮤지컬들을 통한 성장세가 이어졌다. 이에 창작 뮤지컬 시장 또한 확대되며 그 제작과 더불어 공연 또한 증가하였다. 제작되는 작품들의 양적인 성장만이 두드러지던 국내 창작 뮤지컬계에 2004년 무비컬 <와이키키 브라더스>가 등장하며 관객들의 큰 관심을 받게 되었다. 뮤지컬 <와이키키 브라더스>에 힘입어 이후 영화를 원작으로 한 무비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원작을 통해 검증된 시나리오를 가진 무비컬의 장점은 곧 뮤지컬 시장의 새로운 창작 소재로 활용되며 연이어 제작되었다. 본 논문은 해외 뮤지컬 중 무비컬로서 성공을 거둔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를 선정하여 영화에서 뮤지컬로의 장르전환 시 음악이 각 부분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보다 면밀한 검토를 위하여 영화와 뮤지컬을 캐릭터, 서사구조, 음악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하여보고 원작에서 뮤지컬로의 장르전환 시 변화된 부분을 짚어보았다.

Since 2001, the musical market of Korea has been entering into the phase of industrialization in earnest. The trend of the growth through large-scale license musicals continued. Hereupon, the creative musical market expanded as well. In Korea s creative musical circle in which only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works of art produced has been prominent, in 2004, the moviecal <Waikiki Brothers> appeared, thereby attracting mass interest from audiences. Owing to <Waikiki Brothers>, a musical that had proven success by introducing continued re-performances ever since the premier, the moviecals that had the movies as the originals started appearing afterwards. The strong points of the moviecals that possess the scenarios verified through the originals soon got utilized as the new creative materials of the musical market. By selecting <Billy Elliot>, which had been successful as a moviecal among the overseas musicals, this thesis took a look at how music intervenes in each part when the genre is converted from a movie to a musical. For a more detailed examination, movies and musicals were divided into the characters,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music. Each were analyzed. The changed parts when converting the genre from an original to a musical were viewed.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빌리 엘리어트> 분석

Ⅲ.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의 음악 변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