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8075.jpg
학술저널

북한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변화 양상 연구

A Study on North Korea s Mass Gymnastics and Artistic Performance <Arirang>

  • 240

북한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이 공연예술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는 한편 시대 환경 변화에 반응하며 체제 결속과 대외적 과시를 해왔다는 점을 전제로, 2002년 첫 공연 이후 2013년까지의 변화 양상과 문화콘텐츠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아리랑> 공연의 특징은 ‘집단체조도 살리고 예술공연도 살린 것’이 상징하듯 기존의 집단체조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공연예술 장르를 창조했다는 점이다. 내용 측면에서도 민요 <아리랑>을 바탕으로 전체 작품을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집단체조와는 다른 접근법을 보여주었다. 공연장면 구성의 변화와 국내외 정책의 수용 양상, 공연예술의 기술적 변화 측면에서도 변화 발전을 해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 <아리랑> 공연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북한의 이념적 색채가 너무 강해 글로벌 보편성을 획득하기가 쉽지 않은 점이다. 당연히 공연의 경제적인 효과를 얻는 데 실패했다. 하지만 공연의 ‘상업적 기획’ 실험은 공연예술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경험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is research has dealt with the aspect of change and the meaning of the cultural contents which are applied in Mass Gymnastics and Artistic Performance<Arirang> supposed to develop the new genre in Artistic Performance and have the political unity in changing times from 2002 to 2013. The feature of <Arirang> performance has both the mass gymnastics and the artistic performance. It means that the North has created the new artistic performance genre entirely different from previous performance. Also, in the aspect of the contents, it has approached differently based on folk song <Arirang>. It can be developed in the change of plot in performance scenes and the acceptanc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cy, the technical change of the artistic performance. However, <Arirang> performance has included many problems as the global cultural contents. First of all, it can be not easy to obtain the global university because of being filled with the North ideology. In this reason, it was ended in failure to acquire the economic effect. It has the benefit in the point of having experience of ‘Global Market to attempt ‘Commercial Plan’ of performance though.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아리랑> 공연의 장르적 특성과 발전과정

Ⅲ. 대집단 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의 변화 양상

Ⅳ. 글로벌 문화콘텐츠로 발전 가능성과 한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