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드라마 OST의 구매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음악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드라마 OST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제작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실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보·마케팅 관련 요인, 드라마의 속성 관련 요인, 음반의 속성 관련 요인, 개인·환경적 요인 가운데 각각 어떠한 요소가 드라마 OST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관련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실시하였고, 제기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자료와 키워드를 토대로 OST의 구매요인을 분류, 세분화해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실증하기 위해 실제 소비자인 일반인 600명에게 임의표집추출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보·마케팅 관련 요인에서 OST의 음반 발매 형태와 음반 패키지의 구성은 OST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음악시장으로 재편되면서 소비자가 전통 오프라인 음반을 구매하기보다 디지털 음원 형태 위주의 음반을 구매하는 데 익숙해졌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음반에 수록된 곡 전체가 아니라 테마곡 등 인기곡 위주의 음원만을 구입하기 때문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드라마 속성 관련 요인에서는 드라마 장르와 드라마의 인기가 OST의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고 조사되었다. 이는 드라마 OST가 일반 음악상품과는 다른 특성, 즉 원천 콘텐츠인 드라마의 부가상품으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셋째, 음반 속성 관련 요인에서는 가창곡의 비중과 창작곡의 비중이 드라마 OST의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가창곡과 창작곡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최근 국내 드라마 OST의 제작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넷째, 개인·환경적 요인에서는 드라마 음악 장르의 영향, 가수의 음악적 성향, 드라마 방영 기간 중의 판매와 음원 차트 랭크의 영향이 드라마 OST의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특히 드라마 음악장르의 영향과 가수의 음악적 성향은 OST의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affect sales of drama OST, examines the importance of drama OST, which occupies a significant share of music industry today. It then attempts to lay foundations that could be used to establish produc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sales of drama OST and identify which factors-marketing/promotion, attributes of drama, attributes of album, individual/environment- affect the sales of OST the most.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research, preparatory researches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keywords and resources obtained from preparatory researches, classification of factors that affect OST sales was done and questionaries used to conduct a survey to test and verify the hypothesis were created. Based on random sampling, a survey on 600 consumers who actually bought OST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arketing and promotion related factors, the release type and the composition of album package did not affect OST purchase. As it was shown in the preceding analysis of outlook and trend in domestic/foreign music industry, we can interpret this as the effect of music industry being restructured as more digital oriented one, which has led consumers being more accustomed to purchasing digitalized form of music than music in traditional format in off-line market. Also, consumers are purchasing specific music products, including theme songs and popular songs, rather than the entire songs contained in an album. Second, in terms of factors relating to attributes of drama, genre and popularity of dram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les of OST. This is because OST has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other music products do not have, i.e., it is also a secondary product that derives from the original content of drama. Third, in terms of album-related factors, the share of songs and original scores in an albu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les of drama OST. The result reflects the current trend in domestic OST production where the share of songs and original scores are increasing. Fourth, in terms of individual/environmental factors, the genre of drama music, the singer s musical style, OST sales while the drama is being aired and musical chart ranking affected drama OST sales. In particular, the genre of drama music and the singer s musical style were the biggest factor that influenced OST sale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국내 드라마 OST의 현황 및 동향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