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개항 후부터 1910년까지 한국의 개명 지식인들이 서양의 농학을 어떻게 소개하고, 수용하려고 하였으며 그것을 농서로 편찬하면서 어떠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하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1881년부터 1910년까지 약 40권의 농서 및 원예서 등이 출간되었다. 이 시기 서구 농학을 수용하는 데 있어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항후 발간 농서의 주도세력은 일본과 청에 사신단 혹은 유학을 갔던 사람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근대 농서를 발간하는 주도세력을 살펴보면, 대부분 일본과 청에 유학 및 사신단으로 갔다가 그곳에서 새로운 농학을 접하고, 그에 영향을 받아 신 농서를 번역하거나 발췌 정리하는 형태가 많았다. 둘째 개항기 이후 편찬된 농서의 특징은 이전 시기의 농서의 내용과는 차이가 있었다. 개항 이전 농서의 내용은 당시까지 발달된 농학의 내용을 정리한 경험농학이었지만, 개항 이후 서양 농서는 실험농학을 소개한 것이었다. 셋째 양잠에 관한 저서가 지속적으로 출간되었다. 당시 잠사와 견직물은 세계적 무역품이었고, 청과 일본에서도 중요한 수출품이었기 때문에 조선정부는 물론 지식인 사회에서도 그 중요성이 충분히 인지되어 장려되었던 것이다. 정부에서도 뽕나무 재배를 권장하고 양잠업을 적극 권장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how Korean intellectuals from the post-opening period until 1910 introduced and tried to introduce Western agriculture. From 1881 to 1910, about forty books on farming and gardening were published. The characteristics of accepting Western agriculture in this period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leading forces of the publishing agricultural books went abroad to study advanced studies. When we look at the leading forces that published modern agricultural books, most of them went to Japan and the government to go to studying, and there they saw new agriculture, and influenced them to translate or extract new cultivar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agricultural books after the opening period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agricultural books. The content of the previous agricultural books had been summarized the contents of agriculture developed until that time, but the agricultural books after the opening period introduced the experimental farming. Third, the books about the sericultural industry were published continuously. At that time, silk yarns and silk fabrics were world trade goods, and since they were important export items in both China and Japan, their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nd encouraged not only in the Korean government but also in the intellectual society. The government also encouraged the cultivation of mulberry trees and implemented policies that strongly encouraged the use of silkworms.
Ⅰ. 머리말
Ⅱ. 동도서기론의 등장
Ⅲ. 서양 농학의 소개(1881∼1894)
Ⅳ. 서양 농학의 도입과 실험(1894∼1905)
Ⅴ. 서양 농학의 수용과 확산(1906∼1910)
Ⅵ. 서양 농학 수용의 특징
Ⅶ.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