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립대병원 근무자의 감정 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mong National Hospitals Employees

  • 344
128252.jpg

이 연구는 국립대병원 근무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감정노동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표현의 주의정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감정표현의 빈도는 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직무만족에 부(-)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감정표현을 많이 하게 되면 직무만족이 향상될 수 있으나, 감정표현에 있어서 주의를 기울이고 신경을 많이 쓰게 되면 직무만족을 떨어드리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감정표현의 다양성도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는데, 이는 감정표현을 다양하게 할수록 국립대병원 근무자들은 직무만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간호부서 근무자들의 경우에도 감정표현 빈도, 감정표현 주의정도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는데, 마찬가지로, 감정표현 빈도는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반면, 감정표현 주의정도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행정부서 근무자들의 경우에는 감정표현 빈도, 감정표현 주의정도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역시 감정표현의 빈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It is found that emotional lab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le the attentiveness of emotional expressions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diversified the emotional expression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employees. In the case of nursing staff, emotion expression frequency and emotion expression atten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staff, emotion expression frequency and emotion expression attentive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