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independent mandibular growth pattern in Korean normal adults

  • 0
127876.jpg

1960년 Moss가 두개안면부 성장에 대한 기능적 기질이론(functional matrix theory)을 제시한 후 하악골 성장에 관해서는 1987년 Precious and Delaire에 의해 하악골 5개부위 독립성장이론으로 발전되고 일반화되었다. 하악골의 독립성장 골격단위로는 과두돌기부, 근돌기부, 하악각부, 하악체부 및 치조돌기부가 제시되었으며, 각각의 기능적 기질을 과두돌기부는 외측 익돌근, 근돌기부는 측두근, 하악각부는 교근과 내측 익돌근, 하악체부는 하치조신경과 혈관, 그리고 치조돌기부는 치아와 교합으로 설명하였다. 두개안면부 성장에 대한 기능적 기질이론을 바탕으로 하악골 독립성장부위들의 정장형태를 조사하여 하악골 기형의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 및 수술방법의 선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꽁할 목적으로 한국 정상성인 122명(남자 69명, 여자 53명)의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하악골은 각 골격단위들이 기능적 기질이론에 입각한 성장의 독립성을 가지면서도 상호간에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A mandibular growth pattern is very import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ndibular deformities. At present, the concept that mandibular growth is the sum of growth of each one of the mandibular skeletal units(condyle, coronoid, angle, corpus, and dentoalveolar), which have independent growth by a functional matrix theory of Moss, is generally acce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normal values of independent mandibular growth bassed upon a functional matrix theory and to get some useful data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ndibular deformities of Koreans who need orthognathic surgery. Lateral cephalograms of 122 Korean normal adults(69 males and 53 females)who have normal occlusion and acceptable facial beauty were used. From Ricketts Xi point, the lengths of independent growth portions of condyle, coronoid, angle, and corpus were meassured. The results obtained suggest that, in Korean normal adults, each mandibular skeletal unit shows a balanced and harmonized growth pattern.

Abstract

I. Introduction

II. Materials and Methods

III. Results

IV.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