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Temporomandibular joint bony ankylosis following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maxillary cancer

  • 0
127884.jpg

악관절 유착은 관절 자체의 병변에 의한 진성 유착과 관절외적 요인에 의해 운동제한을 초래하는 가성 유착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또한 포함된 조직의 특성에 따라 골성, 섬유성 그리고 섬유-골성 유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악관절 유착의 원인은 악관절 부위의 외상 및 감염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드물게는 전신적 질환이 방사선 조사에 의한 증례도 보고된 바 있다. 악성종양의 처치시에 널리 응용되는 방사선 치료요법에 대하여 성숙한 골조직은 다소 저항성이 있으나 근육, 인대 및 악관절 원판조직 등은 퇴행성 변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 8년전 우측 상악골의 편평상피 세포암으로 인하여 상악골 절제술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점진적인 개구제한을 호소하며 내원한 58세의 남환자에 있어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실시하여 우측 악관절에 진성 골성유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자등은 개구제한을 해소하기 위하여 완전 골성유착된 우측 악관절의 과두부를 절제한후 측두근과 근막으로 관절외를 이장하고 관절융기부위의 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양측 관상돌기도 절제하였다. 내원당시 개구상태는 3mm정도로 제한되어 있었으나 수술중 28mm의 까지 개구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수술 약 7개월후인 현재는 16mm정도의 개구상태밖에 되지 않으므로 계속적인 개구운동 및 물리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추후 그 결과가 좋아지지 않는다면 우측 악관절부위에 인공매식물 삽입등 2차적 재건술을 고려하고 있다.

국문초록

I. INTRODUCTION

II. REPORT OF A CASE

III. DISCUSSION

IV. SUMMARY

VI. REFERA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