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Sternocleidomastoid flaps for oral and maxillofaeial reconstruction

  • 0
128325.jpg

흉쇄유돌근이 구강악안면 재건술에 많이 이용되기에는 근피판자체의 근간이 되는 혈행이 아닌 분지형혈행분포라는점 및 구강암 절제와 함께 경부 청소술시의 잔류병소에 대한 안전도 문제 및 높은 합병증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바 이에 저자는 최근 시행한 29례의 흉쇄유돌근 피판을 임상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29 흉쇄유돌근 피판은 20 피부근육피판(69.0%), 5 피부근육골피판(17.2%) 및 4 근육피판(13.8%)으로 이용할 수 있었으며 구강내(79.3%), 근육내(13.8%) 및 구강외(6.9%) 재건순서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이때 평균 피부판의 크기는 5.2 × 6.7 ㎝ 이었다. 2. 29 흉쇄유돌근 피판은 타피판 즉 15 견갑거근 근육피판(51.7%), 3 대흉근 피부근육피판(10.3%), 2 경부안면피판(6.9%), 2 비순도피판(6.9%), 2 혀피판(6.9%), 1 승모근 피부근육피판(3.4%), 1 혈관함유장골 피부근육골 피판(3.4%) 및 1 혈관함유 두개골 근막골피판(3.4%) 등과 복합적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었다. 3. 흉쇄유돌근 피부근육 피판은 금속판이나 레진악골에서도 잘 생착하며 피부근육골 피판을 만들경우 작도 혹은 공여부의 쇄골골절 등을 고려하여 분층쇄골보다는 전층쇄골 피부근육골피판을 형성하는게 나은 것 같다. 4. 합병증은 표피탈락(20.7%), 봉합괴리(13.8%), 부분괴사(3.4%), 구강표피누공(3.4%) 및 감염(3.4%)으로 모두 구강내 재건시 발생하었으며 합병증율은 41.4%이나 복합적으로 사용된 타 피판에 의한 합병증이나 자연치유율을 제외하면 20.7%이다. 5. 흉쇄유돌근 피판의 합병증은 자연치유나 주위피판에 위해 처치될 수 있는 정도로서 심각한 것은 아니었고 혈행보존과 함께 긴장도 없는 피판작성과 술후의 고압산소요법 이용이 합병증 감소에 도움이 되었다. 6. 흉쇄유돌근 피판은 비교적 적은 부위의 악안면재건술시 및 기능적 경부 청소술을 시행함으로써 구강암 절제시 재건에도 사용될 수 있는 일차적 재건술로 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Summary

References

국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