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Study on changes of hyoid bone and upper airway following osteotomy of mandibular prognathism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16권 제1호
-
1990.011 - 5 (5 pages)
- 9

하악골 시상골 골절단술후 일어나는 혀와 설골의 순응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골의 골절단술에 의한 후방이동후 혀와 설골의 변화에 따른 회귀성향에 대해 연구하는데 있다. 저자등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구강악안면 외과에서 하악골 시상골 골절단술을 이용하여 하악 전돌증을 교정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술전, 수술직후, 수술 6개월 경과후의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의 측정은 한사람이 분석하였다. 혀와 설골의 위치변화를 평가할 목적으로 각각의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으로부터 설골을 중심으로한 5개의 거리계측과 3개의 각도계측을 측정하였다. 결론 1. 하악골 골절단술 후에는 설기저의 하방 또는 약간의 후방이동으로 기도를 유지한다. 2. Cervical vertebrae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관계는 거의 변화가 없이 상기도를 유지한다. 3.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의 정확성과 두부의 위치의 고정성등의 요건에 따라서 설골의 위치변화가 심하므로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문초록
I. INTRODUCTION
II. MATERIAL & METHOD
III. RESULT
IV.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