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악교정수술을 위한 각 개인의 두부방사선계측분석에 있어서 절대치보다는 균형과 비례관계에 의한 비율로 평가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되며, 특히 한 점으로 수렴되는 네 기준선 (anterior cranial base plane, palatal plane, occlusal plane, mandibular plane)과 그 중심점으로부터 형성된 호를 이용하여 각 호에 대한 각 부분의 위치적 관계를 비율로 평가하는 호선분석법 (sassouni s archeal analysis)이 악교정수술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이 호선분석법을 이용하여 ①균형있는 안모를 가진 정상교합자 한국인 121명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호선분석요소들의 기준치를 구하였고, ②Angle씨 제Ⅲ급 부정교합자 203명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이들의 치아 및 안면부조화의 유형분류를 하였으며, ③이들 유형별로 악골 및 치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평적 형태의 분류를 위하여는 다음 4개의 요소 ; O-A/O-Na에 의한 상악골위치, O-B/O-Na에 의한 하악골위치, ACBP와 상악중절치가 이루는 각에 의한 상악치아위치, MP과 하악중절치가 이루는 각에 의한 하악치아위치를 이용하였으며, 수직적 형태의 분류를 위하여는 다음 2개의 요소 ; 전후안면고경비율(SOr-Me/Si -Go), 전상하안면고경비율(ANS-Me/ANS-SOr)을 이용하였다. 균형있는 안모를 가진 정상교합자와 제Ⅲ급 부정교합자에서 이들 요소들을 비교분석하여 6종류의 수직유형 (Type 1,2,3,4,5,6)과 6종류의 수평유형 (Type A, B, C, D, E, F)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6종류의 수직유형은 203명의 전 부정교합자의 95.6%, 6종류의 수평유형은 89.7%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이들 6종류의 수평 및 수직유형의 조합으로 제Ⅲ급 부정교합자의 약 85%를 유형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빈도가 많은 제Ⅲ급 부정교합자의 유형은 Type B와 Type 1의 조합으로 상악골은 정상, 하악골은 전방위치, 상악치아는 순측변위, 하악치아는 설측변위, mandibular planeㆍpalatal planeㆍocclusal plane은 정상인 형태이다. 제Ⅲ급 부정교합자의 이러한 유형분류는 치아 및 악골의 수평관계뿐 아니라 수직관계를 도식적으로 보여 주기때문에 악교정수술을 위한 진단과 치료계획수립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국문초록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SUMMARY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