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시를 활용한 한국인의 정서 교육 연구
A study of education in sentiments of Koreans through lyrics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한국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연구 제5호
-
2016.0883 - 106 (24 pages)
- 437

이 논문은 한국어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인의 정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시도되었다. 5000년을 도도하게 흘러온 한국인의 전통적이고 고유한 정서를 깊게 노래한 대표적인 서정시들을 통하여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를 알리고 한국과 한국인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에 대한 교육내용을 마련하고자 했다. 권력자들에게 끊임없는 수탈을 당하고 무수한 침략을 겪으면서도 대다수의 한국의 민중은 한을 한으로 풀어내지 않고 정과 측은지심과 물아일체와 자기희생으로 승화시켜왔다. 그것이 한민족의 힘이기에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이어가고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이다. 은근과 끈기로 견뎌낸 긍정의 정서들, 이 정서는 또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에게도 확장시키면 얼마든지 공통분모를 찾을 수 있는 인류 공통의 정서이기도 하다. 연구 결과,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를 혈연에 의지한 가족의 정, 삼라만상에 대한 측은지심, 천지만물과의 교감(물아일체), 모성과 자기희생의 네 가지로 집약할 수 있었다. 국가와 민족이 달라도 각 개인들의 오랜 역사 속에 녹아 있는 정서를 노래한 시와 노래를 공유함으로써 인간의 공통 정서를 서로 교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들은 한국의 대표적인 서정시의 학습을 통해서 한국과 한국 문화와 한국인의 정서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한국인과의 관계에서 친밀감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 부가적으로 원활한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말하기에서도 한국어의 고급스런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implant a just sense of Korean sentiment to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typical Korean lyrics which recite quintessential Korean sentiment that has flowed inside Koreans for 5000 years: introduce typical Korean emotional sentiment to foreign learners and buil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learners to better comprehend Korea and Korean. Most Korean people did not resolve their deep sorrow but sublimated it with affection, compassion, interaction with all creation, and self-sacrifice although Korean had encountered untold exploitation. As with the power of the Korean race, Koreans have managed to keep tradition and culture alive. Korean have held up positive sentiment through courtesy and tenacity. Korean sentiment is also common speech for humanity that we can identify from foreign students. The study integrated the typical Korean sentiment into four aspects: strongly close-knitted family affection, compassion for nature, interaction with all creation, maternal instinct and self-sacrifice. All nations and races can interact using common sentiment with each other through poetry and song which contain individual emotion in a long history. Korean learners are not only expected to better comprehend Korea, Korean culture, and Korean sentiment through typical lyrics, but also to be able to form a social consensus with others. Learners would improve their capacity of expression as well as communication.
<국문초록>
1. 서론
2.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
3. 교수ㆍ학습 지도안
4.결론
<Abstract>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