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산둥성(山東省) 남부의 쑹좡(宋莊)을 조사 지역으로 삼아, 미시적인 접근으로 이 마을에 남겨진 부녀자들 일상생활의 한 측면과, 그 부녀자들이 생계에 쫓겨 일반인은 상상하기도 어려운 체력적인 고생을 겪으며 정신적으로도 큰 대가를 치르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와 동시에 현실 속에서 남겨진 부녀자들이 농촌의 ‘지킴이’면서 도시의 ‘선택’ 뒤에 남겨진 ‘잔여물’임을 발견했다. 그녀들은 주체의식을 가지고 번거롭고 힘든 육체노동, 가사노동, 노인 봉양과 아이 양육의 임무를 맡고 있었다. 그녀들은 마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지만, 주관적인 인식과 객관적인 조건의 제약 때문에, 마을이나 사회라는 틀 속에서 자기표현을 할 기회가 없었다. 그와 동시에 그녀들의 모습은 지금의 주류매체와 대중매체 속에서 정상적으로 전달되질 못하고, 현대문학 속에서도 제대로 표현되지 못한 채, 왜곡되거나 가려져 버렸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좀 더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Songzhuang(宋莊) Village, locate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Shandong Province(山東省), was used as the investigation area for this study. Adopting a microscopic approach to examine the everyday life of women left in this village, the study reveals that in order to maintain livelihood, these village women often have to go through physical and mental hardships unimaginable to most people. At the same time,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these women who are left behind in reality, are the ‘remains’ of those who ‘choose’ the city and are the ones staying behind to ‘protect’ the village. To upkeep traditions and identity, they are entrusted with the onerous and difficult tasks of physical labor, housework, elderly care and child care. Despite playing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village, these women have no opportunity for self-expression within the frameworks of the village and society, due to subjective perceptions and the constraints of objective conditions. In addition, they are not properly portrayed in the current mainstream media and mass media, and are often misrepresented in modern literature which distorts and disguise their image. There is thus a need to analyze the cause of such a phenomenon and think deeper into it.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마을의 개괄적인 상황
3. 중노동자들
4. 번민에 빠진 사람들
5. 주체적인 역할과 매체의 묘사
6. 남겨진 이야기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