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8443.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본의 대중국 통상구조 및 전략변화 분석을 통한 중일 통상관계 연구

A Study on the Trad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Japan by Analyzing Changes of Japanese Trade Structure and Strategy to China

  • 236

일본의 핵심 통상전략은 미국과의 협력을 전제로 중국과 경제관계를 강화함과 동시에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최근 20년 동안 중국이 빠른 경제성장을 통해서 G2로 부상하면서 일본의 이러한 통상전략은 변화를 맞고 있다. 특히 오늘날 동아시아를 무대로 중국의 메가 FTA 확산 및 일대일로 구상이 구체화되면서 일본은 자국 중심의 세력 구축을 통해서 중국을 견제하려는 전략을 강화해 왔다. 하지만 최근 출범한 미국의 트럼프 정권 하에서는 이러한 일본의 대(對)중국 통상전략이 또 한번 큰 전환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지난 20년 동안의 일본의 대중국 통상구조 및 전략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향후의 중일 통상관계에 대해 예측하고자 한다.

The key of Japanese trade strategy was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China and to keep in check with China at the same time, premised on the cooperation with the U.S. But in the last 20 years, China floated to G2 by rapid economic growth, it gave changes to Japanese trade strategy. Especially, as Chinese mega FTA in East Asia and the plan of ‘one belt one road’ were realized, Japan has intensified a strategy of keep in check on China through establishing the strength centered by its own country. But lately the U.S. Trump government forecasts Japan will take a high turn on trade strategy to China. This paper predicts future China-Japan relations by analyzing Japanese trade structure and strategy to China in the last 20 years. Future Japanese trade strategy will unfold to cope with China-driven East Asia trade order. Japan will press China cooperating with surrounding nations, and on the other hand Japan will act as a ‘mediator’ of trade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That way, Japan will tighten trade relations with China and enhance its own position in East Asia.

1. 서론

2. 일본의 대중국 및 동아시아 통상구조의 변화

3. 동아시아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통상전략

4. 최근 일본의 대중국 통상전략의 변화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