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공막돌륭술 후 생긴 큰 내사시에 대한 돌륭물 제거없이 시행한 수술적 치료 1예

A Case of Surgical Treatment of Large-angle Esotropia after Scleral Buckling without Buckle Removal

  • 7
128441.jpg

목적: 공막돌륭술 후 발생한 큰 각의 내사시 환자에서 공막돌륭물을 제거하지 않고 사시 수술만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1세 남자가 내사시의 치료를 원하여 안과외래에 방문하였다. 이전에 오른눈에 흉터미숙아망막병증(cicatricial retinopathy of prematurity)으로, 4세에 망막박리가 발생하여 360°공막두르기띠(encircling band), 8시 방향에 방사공막돌륭술(radial buckling), 7시에서 11시 방향에 둘레공막돌륭술(circumferential buckling)을 시행받았다. 망막수술 후 2년까지만 경과관찰을 할 수 있었고, 마지막 검사에서 5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의 내사시를 보였다. 다시 내원하였을 때, 안구운동검사에서 55PD의 오른눈 내사시와 가쪽운동장애 소견을 보였다. 망막전문의와 협진 후 공막돌륭물은 사시 수술 시 제거하지 않기로 하였다. 전신마취 후 강제당김검사 (forced duction test)를 시행하였고, 오른눈 안쪽곧은근의 저항을 확인하였다. 수술 중 탐색(exploration)에서 공막돌륭물과 외안근 사이의 심한 유착을 확인할 수 있고, 주위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유착을 제거하였다. 가쪽곧은근의 8 mm 절제술(resection)과 안쪽 곧은근의 6 mm 후전술(recession)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6개월째, 환자는 정위를 보이며 오른눈의 가쪽운동장애도 호전을 보였다. 결론: 공막돌륭술을 이용한 망막재유착술 후 발생한 큰 각의 내사시에서 공막돌륭물을 제거하지 않고 사시 수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Strabismus can occur after retinal reattachment surgery with scleral buckling (SB). We performed surgical treatment of a large-angle esotropia after SB without buckle removal and achieved good surgical outcome. Case summary: A 21-year-male revisited our clinic for surgical treatment of esotropia. He had cicatricial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 the right eye, and retinal detachment developed when he was 4 years old. Retinal reattachment surgery was performed with a 360-degree encircling band, a radial buckle at the 8 o’clock position, and a circumferential buckle ranging from the 7 to 11 o’clock position. He was not available for follow-up 2 years after surgery due to a change of residence, but exhibited a 5 prism diopters (PD) esotropia at the last visit. He demonstrated 55 PD esotropia of the right eye in the primary position with limited abduction. Surgery was performed without buckle removal, as recommended by a retinal specialist. Under general anesthesia, a forced duction test revealed a restriction of the medial rectus of the right eye. Exploration showed extensive adhesions around both the medial and lateral rectus with the buckle. Careful adhesiolysis and dissection were performed. A 8-mm resection of the lateral rectus and a 6-mm recession of the medial rectus were performed. The patient demonstrated favorable ocular alignment, and the limited abduction of the right eye improved after surgery. Conclusions: We report a case of surgical treatment of a large-angle esotropia after SB without buckle removal. This case can be helpful for surgeons planning the treatment of strabismus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SB.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