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촛불집회에 대한 10대 청소년의 정치적 태도와 행동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among Teenagers on the Candlelight Vigils in 2016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7권 9호
-
2017.05495 - 514 (20 pages)
-
DOI : 10.22251/jlcci.2017.17.9.495
- 1,149

본 연구는 2016년 가을부터 시작된 박근혜 정권 퇴진 운동에 관한 촛불집회에 대한 청소년의 정치적 태도와 참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8차 촛불집회까지 마무리된 12월 19일부터 28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투표권을 직전에 둔 고등학생들의 TV 시청이나 라디오 청취, 인터넷 이용에 관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부모 및 친구, 교사와의 대화와 관련된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수준을 통해 청소년의 정치적 사건에 관한 의사소통과 정보 습득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촛불집회를 비롯한 청소년의 정치 참여 유형과 그 정도를 파악하고, 셋째, 청소년의 커뮤니케이션 이용 유형이 정치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촛불집회에 관한 부모 및 친구와의 대화, 인터넷 이용은 청소년의 정치적 태도와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political meaning of candlelight vigil in youth. For this, this study examine the real state of political communication and political attitude and participation about the candlelight vigil 2016 and analyse the effects of political communication on the political attitude and participation of teenagers. As a research method,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he sample was 601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alyses of Frequency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eenagers show the most frequent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Internet was the most active in media use. Secondly, a significant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participated in candlelight vigils with friends or family. This candlelight vigils affects on the political attitud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political trust and the sense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youth. In addition, the internet use and political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friends are significant factors in political attitudes and participation.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