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빈티지 여행자의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고객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ntage tour

  • 250
128863.jpg

본 연구는 낙후된 도심의 뒤안길을 관광대상화 하는 빈티지여행자의 속성 및 행태를 내부자의 관점으로 이해함으로써, 새롭게 등장하는 관광유형인 빈티지 여행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수집된 질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빈티지여행의 특성으로는 공간을 시간화하는 인식의 특징, 해당 대상지와 유사한 지역의 거주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여행지 내에서 현실과 다른 시간 체감 성향을 보이는 점 등을 발견하였다. 또한 빈티지 여행 경험을 통해 여행자들은 ‘진정성(authenticity)’을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환경과 대면했을 때 느끼는 심리적 체험은 아름다움(美)과 관련된 정서이며, 주민과 대면했을 때의 심리적 체험은 올바르고 착한 사람의 가치를 뜻하는 선(善)으로 대표되었다. 이런 점에서 빈티지 여행자들이 겪는 심리적 경험의 과정을 본 연구에서는 ‘빈(貧)의 진선미(眞善美)’로 정리하였다. 빈티지 여행자의 행태와 특성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산업사회로 대표되는 근대성(modernity)이 주요한 개념으로 등장하였는데, 빈티지여행자의 행태와 여행의 특성은 탈근대관광의 속성에 기반하고 있다. 빈티지 여행자들은 자신들의 가치관, 욕구 및 동기에 따라 ‘탈산업사회’로의 이동을 추구하며, 이러한 욕구가 빈티지 여행의 추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빈티지여행의 특성은 살아 있는 과거로의 이동을 경험하기 위한 공간이동을 통한 시간 여행이며, 이 과정에서 여행자들은 현대사회에 상실된 진정성을 추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common characteristics of vintage tourist who takes lagged alley of city as their tourism target , and to explore the property of vintage tour with the eyes of insider.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vintage tourist which is totally different to that of general tourist. The analyses result of qualitative data drawn out from this study propose the tendency that the travelling space is recognized as time in the vintage tourism. Regardless of residing experience in the similar place to the target spot, they have ‘time experience which is different to the reality’ such as ‘the feeling of time stands still’ or ‘time goes slowly’. It was drawn that tourists desire to experience authenticity lost in modern society and they really experience authenticity through vintage tour.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upon facing the environment was found to be beauty -related sentiment, a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they have upon facing residents was represented by the virtue meaning the value of right and good people. In this respect, the cours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that vintage tourists undergo can be summarized to be the truth, good, and beauty of poverty.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질적 자료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