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Health Promoting Life Style on Successful Ag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Adults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성공적 노화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Vol.17 No.10
-
2017.05489 - 506 (18 pages)
-
DOI : 10.22251/jlcci.2017.17.10.489
- 612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성공적 노화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40~65세의 중년기 성인 202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3월 13일부터 4월 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성공적 노화와 심리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공적 노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증진 생활양식, 인생 만족도, 결혼여부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2%였 다. 심리적 웰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증진 생활양식으로 설명력은 8%였다. 따라서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life styles on successful ag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adults. The subjects were 202 people middle-aged adults aged 40 to 65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3 to April 9, 2017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3.0 program. Health promotion lifesty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ccessful ag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were health promotion life style,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tatus, and explanatory power was 52%.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health promotion life style, and explanatory power was 8%. Therefore, education and publicity are needed to strengthen health promotion life style,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concrete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