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재조사측량을 통한 건축물정보 구축방법 및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Construction Method and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Cadastral Re-survey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3권 제1호
-
2017.0453 - 69 (17 pages)
- 372

지적재조사를 통해 취득되고 있는 다양한 정보 중 건축물정보는 건축물의 등록 및 관리, 도로명주소 정보 구축 외에도 재해재난 대응과 같이 도시지역의 안전관리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그러나 건축물정보는 불규칙하고 빠르게 변경함에 따라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구축하는 데 많은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적재조사를 통해 취득되는 건축물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라 할 수 있으나, 지적재조사특별법 등 관련법에는 지적재조사 시 건축물정보 구축 및 등록 활용등을 위한규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물과 지적재조사관련 법제도, 업무 분석을 통해 지적재조사에서 조사되어야할 건축물의 대상을 정의하고 관련 법제도 개선과 각 업무별 적용되는 건축물에 대해 일관적인 측량기준을 제시하고 등록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현행 지적재 조사특별법에서 혼용되고 있는 건축물관련 용어를 재조정하고 법적 적용범위에 대한 법제도 개선 및신설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축된 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데이터표준화, 시스템 연계 등을 통해 두 분야의 정보와 업무 연계를 위한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Diversified building information being acquired through cadastral re-survey i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safety management of urban area such as disaster management in addition to registration, management of building, construct of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However, as building information is irregular and changed rapidly, there is considerable limitation in constructing accurate information promp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being acquired through cadastral re-survey would be a good alternative but actually, a method of building information construct, registration and utilization at the time of cadastral re-survey is not sufficiently specified in relevant law like special law of cadastral re-survey.Under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building target to be surveyed in cadastral re-survey through legal system relevant to domestic building and cadastral re-survey, business analysis was defined and relevant legal system improvement, consistent survey criteria for the buildings being applied by each business was suggested and its registration method was developed. In addition, building related terms being used in special law of current cadastral re-survey in a mixed form was readjusted and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legal application range and newly established plan were suggested. Finally, in order to ensure linkage and utilization of constructed information, a promotion method for information, business linkage of two fields through data standardization and system linkage on medium/long-term basis was suggest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