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구제를 위한 지적발전기금 도입 연구
Study on Introduction of Cadastral Development Fund for Relief of Civil Rights and Interests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3권 제1호
-
2017.04143 - 157 (15 pages)
- 94

본 연구에서는 국민의 권익구제를 위한 지적발전기금 도입에 관한 필요성을 도출하고, 기금 도입을 위한 절차를 모색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지적발전기금의 도입 방안과 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발전기금 도입을 위한 절차의 정의는 전담조직 신설, 관계법령 개정, 기금 운용 후속조치의 순으로 정의하였다. 도입을 위한 세부 방안으로서 전담조직은 국토교통부 산하에 신설하고, 법률적 근거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과 국가재정법 개정을 통해 마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금 운용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은 토지이동정리 수수료, 지적측량수 수료의 기술료, 토지거래세의 일정부분 등을 활용해 지적발전기금으로 편입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금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토지경계분쟁에 따른 보상, 지적재조사사업 지원, 지적제도 및 산업 발전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the cadastral development fund for relief of civil rights and interests was derived, and the procedure for fund introduction was sought. The introduction of cadastral development fund and its appli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finition of the procedur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adastral development fund is defined in the order of responsible organization,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follow up of fund management. As a detailed plan for the introduction, the organization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legal basis was proposed through amendment of Act on the Establishment, Management, etc. of Spatial Data and National Finance Act. Furthermore the financing scheme for the fund management is to incorporate registration fee according to land alteration, technical fee of cadastral surveying fee, and a part of land transaction tax into the cadastral development fund. For the utilization of the fund, compensation for land border disputes, support for cadastral resurvey project, and support for cadastral system and industrial development are suggested.
1. 서 론
2. 기금 및 지적발전기금
3. 지적발전기금 도입의 필요성 및 절차
4. 지적발전기금의 도입 및 활용 방안
5.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