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8968.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 전기의 貢女와 그 친족에 대한 시혜

Kongnyo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Benefits to the Relative Family -Myung Kyungtaeje mother, the Oh chuk’s daughter around-

  • 390

충북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는 ‘궁골’이라는 지명이 존재한다. 왜 지명이 궁궐과 관련이 있는 궁골일까. 이 글의 시작점이다. 궁골과 관련하여 적어도 3개의 구전이 존재하고 있고, 대부분 고려 기황후와 관련된 것들이다. 자료를 고찰한 결과, 궁골은 조선전기 오척의 딸로 명나라 황궁에 진헌된 吳공녀의 출생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태종~세종 연간에 명나라 진헌된 조선의 공녀는 모두 7차례이다. 진천인 오척의 딸은 4차 때 공녀로 간택되어 명나라에 입궁하였고 당시 나이 12세였다. 이와 관련하여 조선시대 사찬 기록물인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 『해동역사』 등은 공통적으로 ‘진천인 오척의 딸이 선덕제의 후비이자 명나라 제 7대 황제 경태제의 생모가 되었다.’라고 서술하였다. 『속통고』만 다른 내용을 서술하였다. 그러나 吳공녀의 얼굴이 화상(畵像)으로 그려져 국내 전해진 점과 명나라 내관 윤봉(尹鳳)이 그녀의 생부를 황친(皇親)으로 직접 지칭한 점 등은 그녀가 선덕제의 후비이자 경태제의 생모였음을 반증하고 있다. 吳공녀의 가문이 현달한 점도 크게 주목된다. 吳공녀의 삼촌 5형제는 모두 현감 이상의 품관에 오르는 등 입신출세하였다. 이것은 황친 오척에 대한 배려일 가능성이 높다. 이 글은 공녀 역사와 지역사 확장 차원에서 미시적으로 접근하였다.

There is a name called ‘Gunggol’ in Nowon-ri, Iwol-myun, Jincheon-gun, Chungbuk-do. Why is the name of the Gunggol related to the palace? This is the beginning of this article. There are at least three oral traditions in relation to Gunggol. Most of them are related to Gih(奇) wanghu of the goryeo dynasty. However, considering the data, Gunggol was found to be the birthplace of Oh(吳) gongnyeo.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gongnyeo was devoted to the Myung dynasty seven times. Oh gongnyeo was dedicated to the fourth Myung dynasty and was then 12 years old. Several records, including 『sunghosasul』, indicate that Oh gongnyeo became the queen of Sundukje and the mother of Kyungtaeje. Only the 『Soktonggo』 has been described. However, Oh gongnyeo’s portrait and comments reflect the above. It is also noteworthy that Oh gongnyeo’s family name was named after her. Oh gongnyeo’s uncle, five siblings, rose to eminence in higher positions. This is likely to be a consideration for the Crown Prince. This article approached microscopically the history of the gongnyeo and the expansion of the local history.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공녀

Ⅲ. 吳공녀의 明나라 진헌 과정

Ⅳ. 吳황후가 국내 가족에 끼친 영향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