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업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effects in problem based learning(PBL)

  • 3,398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01년부터 2016 년 6월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문제중심학습’, ‘PBL’, ‘효과’ 등을 교차로 검색 하여 최종적으로 11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총 18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학습동기, 자기주도 학습력, 학습태도와 학업성 취도를 조절변인으로는 연구대상, 중심교과, 지역, 수업형식과 수업기간을 선정하였 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종속변인 전체에 대해 중간 크기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그 중 창의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절변인에 따른 종속변인들의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증 결과,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종속변인에서 이질적인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셋째, 문제중 심학습을 과학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타 교과에 비해 문제해결능력, 학습동기, 자기 주도 학습력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반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의 효과크 기는 가장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in the problem based learning (PBL) using meta analysis method. 112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June 2016 in Korea were selected by searching ‘problem based learning,’ ‘PBL,’ and ‘effect,’ and 185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BL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arning is a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ity,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g=0.60). Second,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creativity shows heterogeneous effect size towards the moderating variables(I 2 =72.3%). Third, for science subject, PBL is the most effective in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However, the least effective i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