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845.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래 사회통합을 위한 통합체육 교육과정 개발

A Curriculum Development o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Integrated Future Society

  • 529

현재 우리나라 정치적·사회적 주요사안은 사회대통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적 요구에 따라 성, 장애, 체형, 문화 영역에서 비롯되는 갈등요소들을 학교체육교육을 통해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사회통합 실현 가능성 제고에 그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체육 교육과정을 활용한 사회통합이라는 거시적 과제 해결을 위해 구조기능주의 관점으로 스포츠 및 체육교육이 생산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미래사회통합에 기여하는 바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 첫째, 미래지향적 사회통합에 적합한 통합체육 교육과정의 세부 영역별 성취목표 설정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둘째, 영역별 성취목표 달성을 위해 세부적 내용 체계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 구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으로, 개발 된 통합체육 교육과정이 미래 사회통합 실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 어야 할 실질적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significant political plans in order to draw social and educational outcom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which is developed based on content system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we suggest theoretical foundations that play a decisive role in constructing significant ideas on each factor(gender, body shape, impairment, and cultur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Second, we suggest the composition plans and the framework of instructive modules. Lastly, this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developments outcomes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nd proposing political plan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practically utilize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Ⅰ. 서 론

Ⅱ. 스포츠 및 체육분야에서의 사회통합의 이론적 고찰

Ⅲ. 사회통합기반 통합체육 교육과정 영역 설계

Ⅲ. 미래사회통합형 통합체육 교육과정 내용의 체계화 및 구조화

Ⅳ. 결론 및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