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Ⅰ. 머리말

Ⅱ. 백제고고학 연구의 전기가 된 발굴

1. 일제강점기 조사

2. 공주 무령왕릉

3. 서울 석촌동 고분군

4. 서울 몽촌토성

5. 영산강유역 고분 발굴조사

6. 서울 풍납토성

7. 사비기 도성 및 사지

8. 마한 분구묘(보령 관창리 유적 등)

9. 지역사회의 고분군과 위세품

10.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지역 발굴

11. 웅진성

Ⅲ. 연구 기반의 확충과 종합

1. 고고학 관련 학과의 설립

2. 백제고고학 연구 인력의 확충

3. 주요 연구 시설의 확충

4. 고고학적 종합

Ⅲ. 주요 쟁점

1. 백제의 국가 형성

2. 금동관 등 위세품의 성격

3. 영산강유역 세력의 성격 및 복속 시기

4. 영산강유역 규슈계(九州系) 횡혈식석실묘와 전방후원형고분(前方後圓形古墳)

5. 문헌기록과 고고자료의 괴리와 극복(왕흥사 및 미륵사지 사리기)

6. 익산 백제 유적의 성격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