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외부 마감 재료의 실대형 화재안전성 시험방법 적용을 위한 비교 실험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Test for Application of a Full-Scale Fire Spread Test Method of External Cladding System of Building
- 한국방재학회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17권3호
-
2017.061 - 10 (10 pages)
-
DOI : 10.9798/KOSHAM.2017.17.3.1
- 258

부산 해운대 우신 골든 스위트 화재와 의정부 대봉 그린 아파트 화재사고는 외장재를 통한 화재 확산의 위험성을 알려준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현행 규정에서는 이러한 외장재의 화염전파에 의한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기준이 미흡한 상태이다. 건축법에서는 소형시험편을 이용한 시험방법과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규모에서 외장재 시스템 전체를 평가할 수 있는 시험방법이 부재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시행하고 있는 외장재의 실대형 시험방법 중 BS 8414-1과 ISO 13785-2의 시험방법을 동일 외장재를 시공하여 시험방법의 비교를 통해 국내에 시험방법을 도입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두 시험방법은 시험체의 크기, 화원의 크기 등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어 시험 결과에서도 차이가 발생하였다.
The fire at Haeundae Wooshin Golden Suite in Busan and Daebong Green Apartment in Euijeongbu reminded us of the high risk of fire spreading througth the claddings. But institutional standard to evaluate the risk of flame spread through claddings has yet to be established. Current building code suggests the test method and evaluation standard using a model specimen and thus the test method using a full-scale model to evaluate the whole cladding system has yet to be made available.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he test methods using BS 8414-1 and ISO 13785-2 among various full-scale tests adoped internationally, with same material, so as to use the result as the basic data in introducing the appropriate test method to the local sites. Consequently, the test results were found different because of some difference in size of speciemen and fire source.
1. 서 론
2. 외장재 화재안전성 연구동향 및국외 시험규격 비교
3. 시험 계획 및 결과
4. 결 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