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간호학과 재학생 219명 대상으로 월경곤란증 대처 방법을 파악하고 월경관련 특성과 월경통 및 월경곤란증, 일상생활제한에 대한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상척도를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을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백분율, 실수,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월경주기는 규칙적인 경우가 61.6%를 차지 하였고, 월경통은 ‘ 첫째날’ 이 가장 심하였으며 월경통의 해결방법으로는 ‘ 참고 견딤’ 이 56.6 % 로 가장 많았고,‘진통제 복용’ 이 약 43%를, ‘ 휴식 ’과 ‘ 온찜질’ 이 각각 30% 정도를 차지 하였다. 월경관련 일상생활 제한정도는 3.27점, 월경중 평균통증은 3.47, 월경중 최대통증은 5.90이었다. 월경불편감 평균값은 2.58이었으며 하부 영역으로는 행동변화, 통증, 수분축적,부정적 정서,주의집중저하,자율신경계 반응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가 불량할수톡,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월경양이 많을수록,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에서 월경불편감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월경 불편감, 일상생활 제한정도,월경통간에는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 : 여대생의 월경증상 감소를 위해 건강증진 및 스트레스 완화 전략이 필요하다. 진통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접근이 쉬운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 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