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4871.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차(茶) 음용 현황과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State of Taking Tea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DOI : 10.21483/qwoaud.36..201706.2
  • 229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차 소비 주체인 동시에 차 문화․산업 발전의 잠재적 성장 동력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차 음용 현황을 살펴보고, 차 음용과의 관련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229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중 71.6%가 월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차를 음용하고 있으며, 거의 매일 음용하는 경우도 30.5%에 달했다. 평소 녹차(29.3%)와 곡물차(25.0%)를 주로 음용하고 있으며, 캔-페트병음료(37.8%)와 잎차형 티백(36.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주기적 차 음용여부는 성별과 거주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음용 하는 차 종류는 경제수준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평소 차 음용빈도와 선호하는 유형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대학 내 차 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이들의 집단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나아가 차 음용과 관련한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 전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the state of taking tea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29 college students in Jeon-buk area. The major outcomes from the analyse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71.6% of college students drink tea at least once a month, it is 30.5% to drink almost daily. They usually drink mainly green tea and grain tea. Can-PET bottle and tea bag was dominant form of the tea.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 tea at least once a month on according to gender and residence typ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tea according to economic level and subjective health leve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and dominant form of the tea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spread tea culture in the future, understanding of their collective characteristics should be preceded, and further, an approach strategy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ea drinking is requir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