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대체의사소통(AAC) 서비스 전달 체계 마련을 위한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분석
Support needs of related professionals regarding AAC service delivery system
- 한국자폐학회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 제14권 제2호
-
2014.0839 - 63 (25 pages)
- 511

최근 뇌병변장애뿐 아니라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와 같은 발달장애 아동들에게도 AAC를 적용하여 의사소통의 일부 혹은 전부를 보완하거나 의사소통의 새로운 통로를 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렇듯 AAC의 효과는 많은 연구와 사례로 밝혀지고 있으나 서비스 전달에 대한 연구 및 전문 인력 관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AAC의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들을 밝히어 AAC 서비스 전달 체계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AAC 중재 및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그룹 중 13명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AAC 적용 경험과 요구에 대해 심층적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2013년 1월부터 2월까지 6주에 걸쳐 온라인상 에서 진행되었고 AAC 정책을 담당하는 전문가 2명도 함께 동참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주제(AAC 중재 경험, AAC 접근성의 어려움, 사용자 중심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 AAC 접근 장벽에 대한 개선 방안)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AAC 서비스 전달 체계 도입의 방향에 대 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support needs of related professionals regard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ervice delivery system in Korea. Method: Thirteen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discussion on the AAC service delivery system in Korea. The focus group was conducted on the Internet over a 6-week period. Results: Four major themes emerged from the discussion: (a) experience of AAC intervention; (b) access barriers to AAC service; (c) user-centered AAC service delivery system; and (d) recommendations to improve AAC accessibilitie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절차
3. 자료분석
4. 질적 연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Ⅲ. 연구 결과
1. AAC 중재 경험
2. AAC 중재서비스의 접근 장벽
3. 사용자 중심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
4. AAC 접근 장벽에 대한 개선 방안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