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을 위한 성공적인 개별화교육계획 개발 및 실행요소 탐색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the Key Components of Successful IEPs for Students with ASD in inclusive settings
- 한국자폐학회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 제12권 제3호
-
2012.1223 - 44 (22 pages)
- 702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이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독특하고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개별화교육계획(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을 개발하고,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그 내용을 제대로 실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IEP 구안과 실행에 대한 국내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을 위한 성공적인 IEP 개발 및 실행의 구성요건을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국내문헌 2편과 국외문헌 16편 총 18편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문헌은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연구결과로 분석되었다. 문헌분석 결과는 (1)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을 위한 주요 IEP 영역 (2) IEP 및 프로그램의 질(quality) 평가, (3) IEP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정리되었으며, 각 영역에 대한 세부사항이 함께 논의되었다.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IEP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in terms of successful inclusion However, there is still the lack of research on the IEPs for students with ASD in order to meet their unique needs. The study reviewed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research on IEPs for students with ASD to explore the key components of successful IEPs in inclusive settings. A total of 18 studies have been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ir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findings. As a result, the successful IEP component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ollowing areas: (1) core IEP domains for ASD, (2) quality evaluation for IEP programs, (3) contributing factors for successful IEP implementation.
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문헌 선정 기준
2. 문헌 선정 및 분석 절차
Ⅲ. 결과
1. 선정 논문의 개관
2.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을 위한 주요 IEP 영역
3. 개별화교육계획 및 프로그램의 질(quality) 평가
4. 개별화교육계획의 개발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