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범죄 여행:

The Journey to Crime:

  • 161
135026.jpg

범죄여행에 관한 문헌들은 범죄자들이 자신들의 거처와 가까운 곳에서 범행을 한다고 가리키고 있다. 나아가서 빈집털이의 이동성에 관한 문헌들 역시 이러한 경향을 다시 확인해 주고 있다. 종전의 문헌들은 범죄이동성에 반영되는 인구동태학적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려 했지만, 근래의 문헌들은 그러한 특성의 차이 규명에 실질적 노력을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범죄여행에 내재하는 인구동태학적 특성의 차이를 재조명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남부 미국의 대도시에서 체포되어 형을 선고받은 331명의 빈집털이범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그 범죄자들이 자신들의 거처와 가까운 곳에서 범행을 하는지 여부와 아울러, 나이, 성별, 그리고 인종과 빈집털이를 위한 이동거리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된 데이터는 범죄자들이 자신들의 거처와 가까운 곳에서 범행을 하고, 범죄를 위한 이동거리의 차이는 인종과 성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된 범죄정책과 전략도 논의하였다.

The ‘journey to crime’ literature indicates that offenders commit crimes close to their homes. It is further confirmed by the mobility literature on the crime of burglary. The literature in the past identified demographic characteristic differences among crime mobility, while the modern literature has not devoted a substantial effort towards it. This article aims to revisit the idea of crime mobility and any inherent demographic differences in the journey to crime. Employing a sample of 331 arrested and charged burglary offenders from a large city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this study tests whether burglaries are most often committed close to an offender’s place of residence, as well as if there are identifiable age, gender, or race patterns in crime mobility for burglary. Our findings suggest that offenders remain close to their homes. Most significant, there are racial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distance traveled, in which regard crime policies and strategies are also discussed.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Conclusion

Works Cit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