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복싱영상 시청동기에 따른 시청몰입이 대회참가욕구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생활체육 복싱의 저변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싱영상 시청동기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시청몰입을 매개변인, 그리고 대회참가욕구 및 운동지속의사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2016년 현재 서울ㆍ경기도 관내 복싱클럽에서 복싱을 수련중인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최종 265명의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SPSS 21.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복싱영상 시청동기의 오락추구, 대리만족, 정보추구는 시청몰입의 호기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청동기의 하위요인인 대리만족은 실제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청동기의 오락추구, 대리만족, 정보추구는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청동기의 하위요인인 대리만족, 오락추구는 관여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싱영상 시청몰입의 관여도는 대회참가육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싱영상 시청몰입의 호기심은 운동지속의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 살펴볼 때, 복싱영상 시청동기는 시청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시청몰입은 대회참가욕구 및 운동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atching flow on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matches and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by motivation to watch boxing video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expand the base of boxing as a sport for all. For this purpose, motivation to watch boxing videos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tching flow as a parameter, and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matches and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s. Convenience sampling of boxing trainees as boxing club memb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of 2016 was performed and the final data were obtained from 265 of them. SPSS 21.0 was us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such sub-factors of motivation to watch boxing videos as entertainment pursuit, vicarious pleasure, and information pursuit positively affected curiosity among the sub-factors of watching flow; vicarious pleasure positively affected a sense of reality; and entertainment pursuit, vicarious pleasure, and information pursuit positively affected enjoyment. Vicarious pleasure and entertainment pursuit positively affected involvement. Second, involv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boxing video watching flow positively affected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matches. Third, curiosity positively affected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