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는 다양한 인구집단에 대한 사회복지 대상적 기법, 지식, 윤리적 기초가 요구되는 전문분야이다. 사회복지사는 현장 실무에 임하면서 전문가적 자신감을 갖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요소와 준비된 자세 (readiness)가 요구된다. 전문가적 직업정체성이란 이러한 자신감과 준비된 자세는 가지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나 사회복지 전문 인력에 관한 직업정체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이 연구는 전국단위의 조사로서 총 735명의 전문성을 가진 사회복지 현장인력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업정체성, 직업만족도, 이직의도를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2차 자료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을 통한 모형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반적인 직업만족도는 매우 높았다. 그리고 직업만족도는 사회복지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수록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과반수의 응답자 (51%)가 가능하면 다른 직업으로 이직하고자 하는 의도를 나타냈다. 직업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사는 만족하는 사회복지사에 비해 이직에 대한 열망이 더 강했으며 아울러 직업만족도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직업정체성이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직업적 책임과 사회복지의 영역을 규정하고 실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됨을 밝힌데 그 의의가 있다.
Social work is a prefession that requires competence working various populations with skills, knowledge, and ethical grounding. Professional identity is a strong indicator to social workers’ skills and readiness for their jobs and confidence for their profession. However, literature relating to professional identity as a factor among staff and professionals allied to social work is scarce. This paper surveyed 735 social workers in Korea an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the profession.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s part of a larger study exploring job involvement,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licensed social workers in the country. Overall there was a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eeling integrated within the social workers’ own professional identity. Howeve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respondents (51%) said they would leave their profession if they could. Dissatisfied social workers was a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turnover intention than satisfied workers while the job satisfaction also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vast majority of social workers in Korea felt that the identity as professionals provided them with a sense of job satisfaction. However, it is essential that the professional identity made them feel adequate to carry out their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nd that the boundaries of their practice are well defined.
국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and literature
Ⅲ. Study purpose and hypotheses
Ⅳ. Findings
Ⅴ. Discussion
Reference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