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를 품은 아유르베다
The Meaning and Function of Fire in Haṭhayoga
-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 요가학저널
- 제4권
-
2015.1230 - 51 (22 pages)
- 332

하타요가의 대표적인 문헌들에는 불 을 의미하는 단어로 아그니(agni)뿐만 아니라 아날라(anala), 바흐니(vahni), 다하나(dahana), 즈바라나(jvalana)가 나타난다. 그 단어들의 용례를 분석하면 크게 네 가지로 의미와 기능을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위장을 중심으로 소화기능과 연관된 ‘소화의 불’로, 그것의 기능은 소화력 강화, 복부를 가늘게 하고 소화기능이 약화되어 생길 수 있는 질병들을 치유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전신에 퍼져있는 열(熱)인 ‘체내의 불’로, 체질의 불균형 해소, 질병 치유 그리고 꾼달리니를 자극한다. 세 번째는 ‘불꽃의 수레’로 하기(下氣) 성향의 아빠나를 끌어올려 도달시키는 지점인 배꼽 아래를 표현한 것으로, 하타요가 수행자에게는 집중의 포인트가 된다. 네 번째는 수슘나를 의미하는 ‘상징의 불’로, 그것은 결합한 쁘라나가 브라흐마란드흐라로 상승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하타요가에 나타난 다양한 불의 의미와 기능은 신체적인 차원을 넘어 수행적인 차원으로 이어진다. 종국에는 하타요가의 다양한 수행법들을 통해 효율적으로 불을 제어함으로써 꾼달리니를 각성시켜 수슘나 나디로 상승하게 하여 하타요가의 최종목적인 삼매 즉 해탈을 성취할 수 있다.
In representative literatures of Haṭhayoga, there are various words, which mean Fire , such as Agni, Jaṭhara, Anala, Vahni, Dahana and Jvalana. The examples of the word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meanings and functions. The first is the Fire of gastric (Jaṭharāgni),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digestive function focusing on the stomach and its function is to strengthen digestive power, to make the abdomen thin and to heal diseases that may occur due to the weakening of the digestive function. The second is the Fire of the body (Śarīrāgni), which means heat all over the body and its function is to relieve inequality of Doṣa, to heal diseases and to stimulate Kuṇḍalinī. The third is the wagon of flame (Vahnimaṇḍala) that means fire coupling Apāna and Prāṇa and its function is to awaken Kuṇḍalinī by heating it. The fourth is the Fire of symbol (Agni) that means Suṣumnā and it plays a role as a channel for raising coupled Prāṇa to Brahmarandhra. A variety of meanings and functions of fire in Haṭhayoga lead to a performative dimension beyond a physical dimension. If fire is controlled efficiently using diverse performance methods of Hatha yoga, the final purpose of Haṭhayoga, Samādhi, that is Mokṣa can be achieved by awakening Kuṇḍalinī and raising it to Suṣumnā.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하타요가에서 불의 용례
3. 하타요가에서 불의 의미와 기능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