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등교사의 ʻ교사되기ʼ 여정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Journey to “Becoming a Teach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435
135244.jpg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경험에 관하여 음악교육을 중심으로 ‘교사되기’라는 관점에서 의미를 탐구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초등교사들의 음악교육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음악교육의 가치와 음악교수역량에 대하여 살펴보고, 실제 연구를 위해 30년 이상의 교사 생활을 한 현직 초등교사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현장노트와 전사자료, 연구 참여자들이 제공한 수업동영상, 수업 지도안, 수업 비평문, 수업 컨설팅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이 논문에서‘교사되기’는 이론적으로 규정한 교사 상을 넘어 교사들의 살아있는 현장의 이야기에서 교육 경험의 의미를 통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교사들이 경험한 배움과 교육현장에서의 실천은‘성찰적 교사’,‘전문적 교사’,‘예술적 교사’,‘협력적 교사’와 같이 네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네 개의 상위 범주는 다시 열다섯 개의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교사의 학습경험은 교수의 경험으로 순환적으로 발전한다. 이는 교사가 단지 지식의 전달자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로서의 경험을 통해서 성장하는 교사가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변화한 교사는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을 실천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meaning about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the viewpoint of “becoming a teacher” centered on music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achers experiences, the study examined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proficiency, and interviewed seven teachers with more than 30 years of experience as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three months from November 2014 to January 2015. Field notes, transcribed materials, video clips, and consulting materials provided by research participants were utilized for the data collec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lear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were found to be the growth of teachers in the following four meanings: reflective teachers, professional teachers, artistic teachers, and cooperative teachers. Th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 develops cyclically with the experience of the teaching. This shows that teachers do not simply stay as forwarders of knowledge but become teachers who grow up through their experiences as learners. Teachers who change in this way will practice education in various ways in the educational field.

Ⅰ. 서론: 교학상장(敎學相長)의 의미에서

Ⅱ. 음악교육과 교사의 경험

Ⅲ. 연구 방법

IV. 경험을 통한 ‘교사되기’의 의미

V.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