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북한 청년동맹 제9차 대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North Korea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9th Congress of Kim Il Sung Socialist Youth League in North Korea

  • 253
135253.jpg

이 논문의 목적은 2016년 개최된 청년동맹 제9차 대회 내용의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북한 김정은 시대 청년정책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북한은 제9차 청년동맹 대회에서 모든 청년들에게 ‘김일성-김정일주의화’를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조직 명칭도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으로 개명하였다. 김정은 시대‘청년강국’은 김일성, 김정은 시대 ‘청년중시’정책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보인다. 북한은 청년동맹 대회를 통해 청년들이 가장 큰 정책적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정치적으로 배려하였다. 이것은 청년 영웅의 탄생으로 신구간 체제 유지와 발전에 대한 신념을 공유하고, 인민생활 향상으로 인한 애국심과 체제 정당성을 부여하는 등 청년을 국가 현대화의 자원이자, 체제 안정화의 핵심 기제로 활용하려는 북한 최고 지도부의 의지로 보인다. 청년세대들은 그 자체가 결과이다. 이것이 북한이 정권 안정화를 위해 청년을 이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전제라는 사실을 부인하기 힘들게 만든다.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North Korea’s regime stability and to present South Korea’s policy to North Korea by analyzing the 9th congress of the Kim Il Sung Socialist Youth League in North Korea. North Korea asks all youth to have the spirit of Kimilsung-Kimjongilism, and change previous Kim Il Sung Socialist Youth League to Kimilsungist-Kimjongilist Youth League. It is noted the word ‘Powerful Nation of the Youth’ is to emphasize on the role of the youth continuously. I strongly believe that the youth generation is very sensitive and reaches for new change and knowledge. However, if they just follow hegemonic ideology, a society will have a lower possibility of potential changes. For these reasons,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South Korea’s youth and North Korea’s youth will play key roles in providing North Korea with various chances to change.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북한 청년동맹의 역사적 전개

Ⅲ. 청년동맹 제9차 대회의 주요 내용과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