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커리 산업에 종사하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셀프리더십(카리스마, 이상적 영향, 영감적 동기부여, 지적자극, 개별배려, 연계보상, 소극적 예외관리, 적극적 예외관리)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때, 셀프리더십의 측정은 리더십 유형을 파악하는 측정도구 중 MLQ(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다요인 리더십 평가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부산, 대구에 있는 베이커리 산업에 종사하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베이커리 산업에 종사하는 종사원들이 느끼는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커리산업에서 조직성과의 향상을 위해서 종사원들이 어떠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고, 특히 인적의존도가 높은 베이커리 산업의 인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in the bakery industry. To do this, we proposed a model that explores the effects of self - leadership(charism, ideal influence,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cognitive reward, management by exception/passive, management by exception/activ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is study and related research. At this time, the measure of self-leadership was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MLQ).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employees in the bakery industry in Seoul, Busan and Daegu.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lf - leadership of the employees in the bakery industry affect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mployees will make effort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bakery industry,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human resources of the bakery industry with high human dependence.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