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역사교육 평가 연구의 성과 분석과 향후과제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Assessment in History Education: Trends over Time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 311
135280.jpg

이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역사교육 평가 연구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에 바탕하여 향후 과제를 제시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해당 시기에 발표된 역사교육 평가 학술지 논문은 61 편, 석사학위논문은 25편이었다. 연도별로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었는데 학술대회나 프로젝트를 통해 기획한 결과로 발표된 것이 적지 않았다. 61 편이 발표된 학술지는 16종이었으며, 전국 단위 학회가 발간하는 역사교육 전문지에 집중되었다. 집필자의 소속기관은 대학과 중등학교가 많았고 초등학교는 적었다. 연구자별로는 2편 이상 발표한 8명의 연구자가 관여한 논문이 38편에 달했다. 소수 연구자가 역사교육 평가연구를 주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학교 수준 평가, 국가 수준 평가, 외국의 평가 등을 고루 다루었다. 특히 학교 수준에서는 수행평가, 국가 수준에서는 수능에 집중되었다. 연구 주제별로는 평가도구의 분석/개발을 다룬 논문이 많았다. 연구방법은 평가 연구인만큼 문항분석이 많았고, 설문조사 등도 있었으나 객관성과 타당성 기준에서는 연구 방법이 미흡한 편이었다. 이와같은 분석을 토대로 향후 과제를 설정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수능 외에도 다른 주요 평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절대평가, 역량평가, 협력평가, IT 기반 평가 등 미래지향적인 평가 방향과 결부해서 새로운 평가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체계적인 데이터의 활용과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 점은 양질의 연구를 하기 위한 전제조건일 것이다. 넷째, 역사교육 평가 연구자가 늘어나야 한다.

Ⅰ. 머리말

Ⅱ. 역사교육 평가 연구의 추이

Ⅲ. 역사교육 평가 연구 분석

Ⅳ.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