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민주시민을 걸러내는 일은 학교 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민주적 시민교육은 미시민의 상태에 있는 학생이 공공적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민주적 능력을 갖게 하는 교육을 목표로 한다. 사회과(역사과)에서도 민주시민 자질 양성을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을 보면 현재 역사에서는 민주적이고 평화적 가치를 존중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과 내용영역에서 민주시민의 자질을 기르기 위한 부분은 쉽게 찾을 수 없다. 우리사회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발생했는지, 어떻게 수용되어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한 고민 없이 민족주의 서사로 이어지다가 현대사부분에서 민주화운동이 갑자기 불거져 나오고 있다. 이 글은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역사수업을 재구성을 한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였다. 교사는 민주주의 관점을 키우기 위해 기존 역사교과서의 주류를 이루던 발전사관, 지배층 중심 사관, 국가와 민족중심 사관에서 벗어나는 것을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학생들은 민주주의를 주권재민, 자유, 평등, 인간의 존엄성으로 분절적으로 언급하였으나 토론과정을 거치면서 이런 가치들의 실현을 위해 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부당한 일을 바꾸는데 참여해야 한다는 자세를 갖추어 가기 시작하였다. 요컨대, 교사가 생각하는 민주주의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를 보고 민주주의를 자유, 평등이라는 피상적인 단어를 읊조리는 데 머물지 않고 관심과 참여의 의지로까지 나갔다.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주의 관점의 역사수업이 더 풍성해지기 위해서는 민주주의 수업 방식과 절차뿐 아니라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민주주의 내용이 더 들어가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reconstruct the contents of history through a democratic point of view. what this mean is that students can interpret history with various viewpoints and take interested in social problems with democratic will. This study observe the class of history teacher who reconstructed the contents of history with a democratic viewpoint. The democratic viewpoint which the teacher define to be was broke away from the ruling class centered, nationalism, and developmentalism view of history. The teacher applied debate as the main teaching method in class, with intention that connected past and present social problem. As the result, student took interested in social and political issues with democratic manner. And some students even participate in signatures seeking campaign against unfair incidents. They thought that democracy had not been completed yet and should be more developed for the welfare of the socially weak. However some students were unable to connect current event with past ones with democratic viewpoint. For these students, history education should not only delivered through democratic methods such as debating but be composed of contents which are democratic. Presenting democratic contents of history through the entire era can aid students to create democratic viewpoints independently.
Ⅰ. 들어가는 말
Ⅱ. 역사교육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
Ⅲ. 민주주의 수업을 위한 교사의 수업 재구성
Ⅳ.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의 의사결정과정과 숙의의 경험
Ⅴ. 학생반응으로 본 민주주의 역사 수업
Ⅵ.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