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282.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학습을 통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사건의 재개념화

Reconceptualizing the Civilian Massacres in the Korean War Period through History Teaching

  • 287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벌어진 민간인 학살 사건에 대해 우리 사회는 반세기 가까이 침묵하여왔다. 사회적으로 금지되었던 학살 이야기는 1990년대 이후 사회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비로소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학살을 자행했던 사회 구조에 대한 성찰 없이 철저히 개인적 비극으로만 형상화되었던 학살 사건은 공론화의 기회를 맞게 되었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사건은 반세기 전에 자행된 학살 행위의 부당성과 폭력성에 관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학살 사건에 대한 사회적 침묵과 망각의 문제이며, 학살을 자행하고 은폐해 온 사회구조의 지속(持續)에 관한 문제이다. 또 반세기 동안 억압되어 온 개인의 학살 기억을 어떻게 사회화할 것인가에 관한 현재 시점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학살 사건이 철저하게 망각되어 지금까지 미해결 과제로 남게 된 이유를 규명해 보았다. 또 학살 사건에 대해 사회적으로 어떤 이야기가 만들어졌으며 그것이 역사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사건의 재개념화(再槪念化)를 위한 역사학습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We have been kept silent for nearly half a century about a massacre happened in the Korean War period. Accounts about it, which have been banned socially, couldn t be in everyone s mouth until democratization progressed in 1990 s. Hence, it gets an opportunity to discourse in contrast to be imaged before as a personal tragedy; without any self-examination about social structure that caused the massacre. It is a problem about its injustice and violence that was happened half a century ago. Also, the problem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ocial silence and oblivion upon it and the continuation of social structure that commit and conceal the massacre.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present point related on how to socialize one s memory of massacre that has been pressed for half a century In this paper, it will beexamined for the reason why the civilian massacre have forgotten absolutely and remained as unsolved task until now. It also would be considered what accounts have been made socially about it and how was it reflected in history textbooks. Finally, the way of studying history to reconceptualize the massacre would be sought.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의 지속성

Ⅲ. ‘양민희생’ 담론과 역사교과서

Ⅳ. 역사학습을 통한 ‘양민희생’ 담론의 해체

Ⅴ. 맺음말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