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라는 개념은 학생들이 세상을 다면적, 다층적으로, 그리고 차이로부터 배울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중요한 역사 이해 또는 분석 도구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역사교육에서 젠더에 접근하는 개념적 틀을 크게 ‘남성 중심 접근법’, ‘여성 삽입 접근법’, ‘젠더 통합 접근법’, 그리고 ‘여성 중심 접근법’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다시 각각의 개념적 틀에서 여성의 경험 및 인식을 다루는 방식이나 젠더를 추구하는 방식을 10가지로 세분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여성이나 젠더를 통합하는 수업 구안 및 교재 개발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각 방식에서 여성이나 젠더가 어떤 주제로, 어떤 관점에서 다루어지며, 특히 여성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구체적인 교재 서술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역사에서 젠더에 접근하는 개념적 틀은 역사 교재, 역사 교육과정 분석의 틀은 물론, 교재 및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적 틀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고는 역사에서 젠더를 통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reviews the articles that provide conceptual frameworks to approach to women or gender in school history or analyze history teaching materials. By doing so, this article suggests and discusses on five conceptual frameworks with ten approaches to women or gender. The five conceptual frameworks are (1) organizing history from a male-centered perspective excluding women, (2) organizing history from a male-centered perspective added women s experiences on to it where they are relevant, (3) Integrating gender in history as a main organizing theme, (4) organizing history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of gender history (5) organizing history from a female-centered perspective.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역사교육에서 젠더에 접근하는 방안에 대한 선행 연구
Ⅲ. 역사교육에서 젠더에 접근하는 개념적 틀
Ⅳ. 맺음말
Abstract